공부중

일반화학1.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일반화학1.

복습 2021. 3. 7. 20:52
728x90

1.1 화학

       : 개요.

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?

- 오랫동안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믿어져 왔고, 이것의 간접적인 증거가 지난 3세기에 걸쳐 수집되어 왔다.

- 최근에는 개개의 분자 또는 원자를 주사터널링 현미경(STM)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됨.

- STM: 미세한 바늘 끝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물질의 표면을 그림으로 그려냄

 

- 우주의 모든 물질은 100여 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. 

- 물질의 성질은 그 물질을 이루는 원자들의 배열에 의해 결정된다.

 

-물질은 여러종류의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. 

-한 물질은 각 원자사이의 결합이 바뀌면 다른 물질로 변한다.

 

과학: 자연과 자연의 변화를 이해하는 과정

자료수집 -> 가설설정 -> 실험

 

 

1.2 과학적 방법

:

1. 관찰하기. : 관찰은 정성적(숫자 없음/ 예) 물은 액체이다)일 수도 있고, 정량적(측정이라고도 함. 숫자와 단위가 있음. 예)물은 100도에서 끓는다)일 수도 있다. 

2. 가설 수립

3. 실험수행

-> 가설이 검증되면 새로운 법칙이 만들어지고, 검증되지 않으면 이론 모형에 대해 새로운 가설설정과 검증을 반복한다

 

1.3 측정 단위

: sI계 (SI system) 1960년 국제적 합의에 의하여 '미터계' 와 '미터계에서 유도된 단위'에 의해 근거를 둔 국제 단위계

 질량(kg), 길이(m), 시간(s), 온도(K), 전류(A), 물질의 양(mol), 조명도(cd)...

 

// - 질량, 부피, 압력, 온도는 측정이 가능하다.

-하지만 밀도는 측정이 가능하지 않고, 계산해서 얻어내는 값이다

 

추가적으로 SI계에서 사용하는 접두사는 외워 두자

(생략)

 

폰에서 정리 추가 (m. dm 부분)

 

1.4 측정의 불확정성

: 유효숫자는 측정에서의 불확정성을 자동으로 나타낸다. (정확도를 높이고 측정값에서 불확정성을 줄이기 위해 유효숫자를 사용한다.)

 

정확도 : 측정값이 참값에 얼마나 근접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

정밀도 : 같은 양을 여러번 측정하였을 때, 이를 측정값이 얼마나 서로 비슷한지를 나타낸다. 측정의 재현성을 나타낸다

// 정확도는 기존의 값, 어떤 정해진 정답이 있을 때 사용하는 말이라 할 수 있고, 정밀도는 어떠한 정답이 없을 때 측정의 재현성이라 할 수 있다. 물론 정답이 존재 할 경우에도 재형성에 대해서라면 정밀도의 사용이 가능하다

 

...

//

추가적인 개념, 이론 정리.

 

1. 원자단 (아직 해결x)

: 화합물의 분자 내에 내포되는 특정한 원자의 일단. 기(基)를 이루지 않은 경우에도 일컬음. (구글 사전)

 

:다원자 이온(polyatomic ions) / 작용기 / 리간드 등과 같이 여러 개의 원자가 모여 1개의 집단(group)을 만든 것. 원자단은 원자단을 구성하는 원자들끼리 강하게 결합되어있기 때문에

화학반응 시 원자단 전체가 반응에 참여합니다.

이 때문에 화학식에서 이들 원자단과 다른 원자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데,

이때 괄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. 그렇다고 중성 분자도 원자단에 포함된다고 생각하지는 마세요.

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안정한 중성 분자는 원자단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
(출처:https://ywpop.tistory.com/2968)

: 화합물에서 몇 개의 원자가 서로 결합하여 마치 한 개의 원자 구실을 하는 집단. 화학 변화에서 집단이 하나의 단위와 같은 행동을 하는 근(根)이나 기(基)를 이른다. 황산기(黃酸基), 수산기(水酸基) 따위가 있다.

 

=> 결론적으로 탄산, 황산... 등, (  )의 형태로 안정된 화학식에서 존재한다고 할때, (  )안의 것들을 원자단이라고 칭하는 건가??

 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