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중
[회로 이론 1] 단위 계단 함수 (The Unit Step Function) 본문
728x90
1. Unit Step Function
단위 계단 함수는 t < 0일때는 0이고, t>0일때는 1인 함수이다.
일반적으로 u(t)로 나타내며 식과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. 시간 이동시켜 오른쪽과 같은 그래프로도 나타낼 수 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특히 DC 전압을 인가한 회로에서 스위칭하는 순간에 대해 값을 나타낼 때 단위 계단 함수를 많이 사용하게 될 것이다.
단위 계단함수 그 차제에는 단위가 없으며 어떤 전압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는 상수전압 (예를들어 5V)을 곱하여 나타낼 수 있다.
2. Rectangular pulse
Unit Step Function을 조정하여 여러 유용한 구동함수를 얻을 수 있다.
![]() |
![]() |
예를들어 직사각형 펄스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.
![]() |
![]() ![]() |
이러한 두 단위 계단함수를 합하면 직사각형 펄스를 얻을 수 있게 된다.
이러한 Rectangular pulse를 사용한다면 Rectangular pulse 와 원하는 함수 f(t)를 곱하여 원하는 구간만 얻어낼 수 있을것이다.
추후 그림 추가
728x90
'전자전기 > 회로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회로이론1] Basic RC / RL Circuits (1) 방전 (0) | 2024.05.19 |
---|---|
[회로이론 1] 회로 응답 (0) | 2024.05.18 |
[회로이론1] 5장 회로 해석 (5) Δ-Y (delta-wye) Conversion (0) | 2024.04.30 |
[회로이론1] 5장 회로 해석 (4) 테브난 등가 회로 (Thévenin Equivalent Circuits) (0) | 2024.04.29 |
[회로이론1] 5장 회로 해석 (3) Source Transformation (1) | 2024.04.28 |